글번호
1124

한국 장문화 유네스코 등재 기원, 2024년 하반기 기획전 기다림의 맛, 시_간

수정일
2024.10.16
작성자
교류홍보팀
조회수
312
등록일
2024.10.16

한국‘장(醬)’문화 유네스코 등재 기원

국립농업박물관 하반기 기획전 <기다림의 맛, 시_간> 개최


◇ 전 시 명 : 기다림의 맛, 시_간

◇ 전시기간 : 2024.10.18.(금)~2025. 2. 23.(일) / 개막식 : 10. 18.(금), 14:00

◇ 전시장소 : 국립농업박물관 기획전시실(경기 수원시 권선구 소재)

◇ 주요전시품 : 농사직설, 추사 김정희 간찰, 메주를 활용한 미술작품 ’Ferment‘, 씨간장 장석 등


□ 국립농업박물관(관장 황수철)은 2024년 하반기 기획전 <기다림의 맛, 시_간>을 2024년 10월 18일부터 2025년 2월 23일까지 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한다. 


 ○ <기다림의 맛, 시_간>은 한식의 기본이 되는 ‘장(醬)문화’를 재조명하고 2024년 유네스코 등재를 기원하는 전시로, 장(醬)이 지닌 역사성과 전통성을 되짚어 보고, 우리 발효 음식을 과학적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했다. 


□ ‘1부 장(醬)의 과거를 보다’는 농경의 시작과 함께 발효 음식을 먹었던 우리 선조들의 과거를 돌아보고 콩 재배와 장(醬)과 관련된 기록과 유물을 소개한다. 


 ○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농서 ‘제민요술’에 기록된 황고려두와 흑고려두를 통해 고구려부터 콩을 재배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선조들이 오래전부터 장을 만들어 먹었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는 ‘고구려 항아리’와 ‘안악 3호분’(고구려)’ △장이 전국으로 배송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고려시대 ‘죽찰’ △특히 샘표에서 장 발효 과정을 사각 메주 틀과 스피커로 표현한 작품 ‘Ferment(발효되다)’를 통해 장이 익어 가는 모습을 상상할 수 있다. 


□ ‘2부 생명을 만들다’는 우리나라 장 담그기 문화를 소개하고 우리의 발효 음식인 장(醬)을 더 가까이 느껴볼 수 있는 미디어아트를 구현했다. 


 ○ △장의 필수요소인 물·소금·메주가 담긴 옹기 속에서, 미생물들이 계절의 변화에 따라 탄생하고 성장하는 모습을 담은 미디어아트 ‘옹기 속 생명 이야기’ △장 담그기 좋은 날을 기록하고 있는 ‘규합총서’, 순창고추장을 예찬한 ‘해동죽지’ △왕실에서도 장을 엄격하게 관리했다는 기록과 장고를 관리하는 ‘장꼬마마’에 대한 이야기가 담긴 ‘경국대전’과 ‘낙선재 주변’ 자료 등이 전시되어 있다. 


□ ‘3부 과거부터 미래를 먹다’는 식품명인들을 통해 과거의 전통 장문화를 현대에서 만나 보는 시간을 가지고자 한다. 또한 장문화의 유네스코 등재를 기원하며 제출한 ‘유네스코 신청서’ 및 ‘동의서’와 세계의 다양한 발효 음식을 만나 볼 수 있다. 


 ○ 또한 조정숙 명인의 ‘씨간장 장석’은 항아리 속에 생긴 소금 결정으로, 신비롭고 아름다운 모습과 시간의 흐름을 느껴 볼 수 있다. 


□ 마지막 에필로그에서는 ‘버선본에 소원 빌기’ 라는 참여형 전시를 마련했다. 스마트폰을 이용해 버선본에 소원과 관람 후기를 써보며, 우리 전통 장문화와 발효 음식의 중요성을 되새겨 볼 수 있다.


□ 다가오는 12월 파라과이의 아순시온(Asuncion)에서 열릴 예정인 ‘제19차 유네스코 무형유산보호협약 정부간 위원회’에서 ‘한국의 장문화’ 등재 심사가 있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계속해서 이어져온 공동체 및 개인의 장문화가 김장 문화에 이어서 유네스코에 등재되기를 기원한다. 


□ 황수철 국립농업박물관장은 “기나긴 여름이 지나고 수확의 계절을 맞아, 하반기 기획전을 개최하게 되었다”라며, “이번 전시로 우리나라  장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길 소망하며, 한식의 밑바탕이 된 장문화의 가치를 느껴보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국립농업박물관의 해당 저작물은 "공공누리 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국립농업박물관의 해당 저작물은 "공공누리 2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국립농업박물관의 해당 저작물은 "공공누리 3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국립농업박물관의 해당 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