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본문
지금 박물관에서는
‘지금 박물관에서는’은 박물관에서 진행하고 있는 사업과 운영 프로그램의 숨은 이야기를 소개하며, 여러분에게 더 가까이 다가갑니다.
수직농장에선 지금-!
국립농업박물관 수직농장의 숨겨진 뒷이야기
오징어 다리? 콩나물? 흙이 묻지 않은 상추의 뿌리를 만져본 아이들이 웃으며 말한 단어다. 실내에서 곱게 자란 상추에는 깨끗한 맨뿌리가 있다. 수직농장의 뒷이야기를 읽은 후에는 맨뿌리가 친숙하게 느껴지길 바라며, 우리는 오늘도 열심히 농장을 가동한다.
수직농장 모습
보이지 않는 노력, 수직농장
국립농업박물관에 도착해 북문 출입구로 들어서는 관람객을 제일 먼저 반기는 곳은 어디일까? 바로 수직농장이다. 깨끗한 재배실에서 엽채류와 허브류가 한결같이 싱싱한 모습으로 관람객들을 기분 좋게 맞이한다. “우와, 모형 아니야?” 수직농장을 구경하는 관람객의 감탄사를 우연히 들으면 웃음이 절로 새어 나온다. 그 이유는 모형보다 예쁘게 키우기 위해 직원들이 부단한 노력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장난삼아 수직농장을 말썽꾸러기 같다고 표현한다. 커다란 기계 설비를 다루는 대담함 속에 파종-이식-정식-수확까지의 성장 과정을 한땀 한땀 직접 다뤄야 하는 세심함을 가지고 작업해야 한다.
청결하고 생산 효율성이 높은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 세심한 노력이 필요해 작은 전쟁터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가끔 물이 역류하는 기습 공격이 생긴다면 그날 하루는 눈 깜짝할 새에 사라진다. 그럼에도 우리는 매일 수직농장과 함께 관람객을 맞이할 준비를 하며 보람찬 시간을 보낸다.
수직농장 재배를 책임지는 직원들
수직농장이란?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영양액 등을 인공적으로 조절해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일년내내 작물을 생산하는 시스템입니다. 미래 농업 기술 중 하나로, 사막, 남극과 같은 오지에서도 작물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파종부터 수확까지, 상추가 자라는 과정
“저기에 흙이 들어있나요?” 박물관이 개관하고 무엇보다 많이 들었던 질문이다. 수직농장은 수경재배로 자라난다. 즉, 식물을 물로 키운다. 흙에서 키우는 재배인 토경과는 달리 재배대의 파이프 속에 흐르는 양액(영양혼압액)으로 작물에게 영양분을 공급한다.
종류마다 다르지만 상추는 파종하고 새싹이 트는 데까지 3일, 새싹이 자라나 재배용 컵으로 옮겨 심기까지 21일, 재배실에 정식해 수확까지 42일, 파종부터 수확까지 대략 6주가 걸린다. 자라는 동안 우리는 맛있는 양액을 제조해 전기전도도(EC), 수소이온농도(Ph)를 맞춰주며 상추가 잘 자랄 수 있도록 사랑을 듬뿍 담아 키우고 있다. 수직농장은 밤에도 LED가 켜져 있냐는 질문도 받곤 하는데 우리 수직농장 상추들은 밤에 잠을 잔다. 그래야 쑥쑥 자라날 테니.
이러한 수직농장 작물 성장 과정과 재배 원리를 관람객에게 재미있게 알려주는 체험, 그게 바로 <수직농장 가보자고-!>다. 체험을 통해 참여자가 수직농장을 새롭게 이해하고 행복한 웃음을 지으며 가벼운 발걸음으로 나갈 수 있도록 준비했다.
수직농장 수확물은?
많은 관람객이 유리 너머로 수직농장을 보며 상추의 행방을 궁금해한다. 수확의 기쁨을 느끼고 나면 한가득 나오는 농작물… 과연 어디로 가는 것일까?
수직농장에서 수확한 상추는 지역 내 무료 급식소를 운영하는 기관인 수원 푸드뱅크에 매주 기부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기부한 상추는 100kg 이상이다. 재배되고 있는 허브류 중 페퍼민트는 박물관에서 운영하는 교육프로그램에 활용되어 맛있는 차로 재탄생 되기도 했다. 이렇듯 앞으로의 수확물은 박물관 교육·체험 프로그램과 연계해 수확물을 활용할 계획이다.
수직농장 체험 프로그램에서는 상추 모종을 활용한 수경재배 화분 만들기와 상추 수확 체험을 통해 작물을 직접 만나볼 수 있다. 수직농장에 들어간 담당자의 수고가 관람객에게 닿기를 바란다.
<수직농장 가보자고-!> 프로그램 활동 모습
<수직농장 가보자고-!>는
국립농업박물관 수직농장 교육실에서 당일 선착순 현장 접수로 만나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