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 소식
팥-티하기 좋은 날 〈동지팥지〉 행사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업무협약
국립농업박물관과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가 우리 축산 문화의 전파와 한우산업의 가치 제고를 위한 업무협약을 2월 10일 체결했다. 양 기관은 ‘한우 디지털 정보센터’ 구축을 위한 자원 공유를 시작으로 다채로운 사업을 공동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


오디오 가이드 서비스 제공
2월부터 박물관의 주요 공간과 유물을 소개하는 오디오 가이드 서비스를 시작했다. 농업관 1·2와 식물원, 곤충관 그리고 농가월령에 대한 해설을 제공하며, 유물 관련 콘텐츠도 포함되어 있다. 오디오 가이드는 핸드폰으로 ‘큐피커’ 오디오 가이드 앱을 내려받거나 안내 데스크에서 오디오 가이드 기기를 대여해 이용할 수 있다.








※ 일정은 기관 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누리집을 통해 진행 여부를 확인한 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 일자 ’25. 4. 15.~7. 27.
- 장소 국립농업박물관 전시동 중앙홀
- 내용 지방 소멸 위기 속에서 희망과 변화를 만드는 농촌 마을과 농촌재생 꿀팁 소개
- 일자 ’25. 6. 3.~8. 31.
- 장소 국립농업박물관 기획전시실
- 내용 시간과 계절을 통해 알아보는 선조들의 철학적 지혜와 과학 기술의 발전이 우리 농업에 끼치는 영향
- 일자 ’25. 5. 3.~5. 5.
- 장소 국립농업박물관 전역
- 대상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
- 내용 우리 박물관 콘텐츠 연계 공연, 체험 프로그램 등
- 일자 ’25. 3. 3.~6. 29. 매일 14:00~17:00
- 장소 국립농업박물관 체험존(곤충관 외부홀)
- 대상 관람객 누구나(1일 60명 한정)
- 내용 전통 반상 차리는 방법을 배워 보는 체험
- 일자 ’25. 5월 중(모판 제작), 6월 중(모내기)
- 장소 국립농업박물관 다랑이논
- 대상 가족
- 내용 모판 만들기와 모내기 등 벼 재배 과정 체험
- 일자 ’25. 3. 9.~6. 29. 매주 일요일 13:00~14:30
- 장소 국립농업박물관 교육동 2층 사랑채 등
- 대상 8세 이상 자녀 동반 가족 10팀(20명)
- 내용 우리 가족에게 필요한 약초를 처방해 보는 체험
- 일자 ’25. 5. 1.~11. 30.
- 장소 국립농업박물관 교육동
- 대상 8세 이상 누구나
- 내용 농업인이 들려주는 생생한 농촌 이야기를 듣고, 미리 맛보는 체험(4가지 테마) * 4월 중 예약 오픈
- 기간 ’25. 4. 7.~6. 27.
- 링크 www.greenpot.kr
- 대상 관람객 누구나
-
내용
벼·콩 화분을 심고 내 화분을 뽐내 보는 국민 농부 체험
* 예약자 대상 화분을 지키는 꼬마 허수아비 만들기 현장 교육 진행
진달래지짐이 만들기
- ① 팥가루를 꿀과 섞어 볶아 낸 다음 부드럽게 이긴다.
- ② ①을 도토리 크기로 동그랗게 빚어서 소를 만든다.
- ③ 찹쌀가루를 고운 체로 친다.
- ④ 진달래의 꽃술을 제거하고 꽃잎만 골라 찹쌀가루에 고루 섞는다.
- ⑤ 찹쌀가루에 물을 넣고 반죽한다. 이때 반죽이 질어지지 않도록 유의한다.
- ⑥ 반죽으로 팥가루 소를 감싼다.
- ⑦ 동그랗게 굴린 뒤 손으로 눌러 꽃잎 모양을 만든다.
- ⑧ 솥 혹은 냄비에 참기름을 두르고 꽃잎 반죽을 지진다.

* 풍석 서유구는 일명 ‘조선의 셰프’로 알려진 조선시대
선비입니다. 본 코너에서는 서유구가 정리한 선조들의
조리법을 소개합니다.
참고 문헌. 풍석 서유구, 『임원경제지 정조지4』, 정정기
역(풍석문화재단,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