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itme01

감상평 보내기

이번 호를 읽고 느낀 점, 좋았던 점, 아쉬운 점 등의 감상평을 자유롭게 남겨 주세요. 독자께서 감상평을 작성하기 위해 내어 주신 잠깐의 시간은 『농업박물관 소식』의 성장을 돕는 큰 밑거름이 됩니다. 의견을 보내신 5분께 추첨을 통해 10,000원 상당의 기프티콘을 보내 드립니다.

참여 방법
item01
  • ➊ 스마트폰으로 왼쪽 QR 코드 스캔
  • ➋ 이번 호 감상평 작성 후 제출

※ 『농업박물관 소식』 뉴스레터를 구독하면 당첨 확률 상승!

참여 기간 2025년 6월 8일(일)까지

※ 당첨자 발표: 6월 13일(금), 당첨자 개별 통보

지난 호 독자 감상평

사회적 기업 고래실 그리고 옥천 지역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월간 옥이네』 소개 잘 보았습니다. 지역 내 문화예술의 부흥과 함께 농촌에서 지속가능한 삶을 살 수 있는 다양한 도전들이 장려되는 분위기가 조성된다면 젊은 층의 농촌 유입 문제도 자연스레 해결되지 않겠나 생각하게 됩니다. 농촌, 우리의 소중한 공동체를 유지하기 위해서 이렇게 뜻있는 분들의 활동이 널리 전파되어 동참하는 분이 많이 늘어났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강창규

‘기다림의 맛, 시간’과 ‘삶의 자리를 만드는 자리틀’은 전통 농업 문화의 깊이를 조화롭게 보여 줍니다. 장 문화를 통해 현대 사회에서 잊혀 가는 느림의 미학을 되새기게 하고, 함께 자리틀을 짜며 생계를 이어 간 모습은 따뜻한 공동체적 삶을 떠올리게 합니다. 기다림과 노동이라는 주제를 통해 전통 농업 문화가 단순한 생계 수단을 넘어 삶의 철학과 공동체 정신을 담고 있음을 잘 보여 주었고, 전통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교훈을 준다는 점에서 깊은 감동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 김환온

‘우리 농업 유산의 기억을 되새기다’를 재밌게 읽었습니다. 무형 유산을 수집, 보존, 배포하는 국립농업박물관의 노력을 응원합니다. 근대 농업을 기억하고 계신 어르신들이 점차 사라지고 있는 지금 하루라도 빨리 농업 유산을 수집하는 정책, 예산, 지원이 절실합니다. 동영상, 음성, 사진 등의 자료를 아카이빙하고 배포하는 농업 유산 허브가 구축되기를 기대합니다. - 안동언

icon02

찰칵! 우리의 계절

여러분이 알고 있는 ‘농’의 여름은 어떤 모습인가요?
쑥쑥 자라는 초록 들판, 비 오는 날의 오두막, 냇가의 개구리, 각종 농촌 행사 등 여름철 농촌과 관련된 사진을 찍어 감상과 함께 보내 주세요. 추첨을 통해 소정의 선물을 보내 드립니다.
여러분께서 보내 주신 소중한 작품은 『농업박물관 소식』 여름호와 박물관 전시동 휴식공간 DID에 게재됩니다.

참여 방법
item06
  • ➊ 스마트폰으로 왼쪽 QR 코드 스캔
  • ➋ 직접 찍은 사진과 20자 이상의 감상 제출
참여 기간 2025년 6월 8일(일)까지

※ 당첨자 발표: 6월 13일(금), 당첨자 개별 통보

소식지 구독 안내

item07

『농업박물관 소식』은 이메일로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계절마다 농업과 박물관의 흥미로운 이야기와 전시·행사·교육 관련 정보가 메일함에 도착합니다.

    구독 방법
  • ➊ 스마트폰으로 QR코드 스캔
  • ➋ 정보 입력 후 ‘구독하기’ 클릭

지난 호 작물 그림

텃밭에 심은 보리가 자랐어요.
그간 심어 주신 작물은 영원할 거예요.

itme02

박우리

itme03

이재동

itme04

서지우

itme05

박주리